반응형

전체 글 239

연신내 역세권 재개발 2차 역세권 구역도 (2023년 4월 업데이트)

연신내 역세권 재개발이 정부에 의해 1차 역세권과 2차 역세권으로 나뉘었습니다. 2차 역세권의 구역도는 어떠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사업내용신속통합기획 / 공공재개발 / 모아주택같이 공모 방식이 아닌 법적 민간 재개발 입니다. 역세권 도시정비형 재개발은 일반 주택정비형 재개발보다 더 빠른 속도를 보입니다. 현재 이 구역의 노후도는 60% 이상입니다. 2. 용도지역 변경- 1차 역세권 (승강장 경계로부터 350m) - 2차 역세권 (승강장 경계로부터 350m ~ 500m) 3. 역세권의 정확한 정의- 역세권이란 지하철역 승강장부터 해당거리내의 지역을 말합니다 (1차 350m , 2차 350~500m) - 1차 역세권은 원래 승강장 경계로부터 250m 이내이지만, 2024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

부동산 2023.02.16

핑거 뱅킹 플랫폼 개발업체에서 메타버스 NFT 플랫폼 개발업체로

핑거는 은행 뱅킹 프로그램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대표적인 앱으로 신한은행 쏠(SOL)이 있습니다. 어떻게 성장을 해왔고 앞으로의 방향은 어떠할것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업개요 은행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프로그램 제작업체 (신한은행 쏠(SOL) 등) 예전에는 이런 업체를 SI라고 통칭. 은행 금융거래 프로그램 개발로 성장 2000년 설립 은행 앱뱅킹 프로그램 만들면서 성장 기업은행, 국민은행, 광주은행, 외환은행 스마트뱅킹 구축 2016-2020 소액해외송금 서비스 개발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 P2P 서비스 플랫폼 개발 2021-2022 마이데이터 사업자 선정 금융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지식재산권 기반 NFT플랫폼 개발 플랫폼 개발 사업부 매출 비중이 70% 수수료 사업부 : 금융기관에 소비자 대..

주식정보 2023.02.15

티사이언티픽 비트코인 빗썸 관련주 위험한 주식

1. 기업개요 1998년 설립 2002년 상장 2020년 사명변경 : 옴니텔 -> 티사이언티픽 2. 사업구조 모바일 쿠폰 (49%) 및 운세사업 (9%) 3. 지배구조 비트갤럭시아1호 -> 버킷스튜디오 -> 인바이오젠 -> 비덴트 -> 빗썸홀딩스 -> 빗썸코리아 위지트 -> 티사이언티픽 -> 빗썸코리아 비덴트는 빗썸 홀딩스 지분 34% 보유 티사이언티픽의 대주주는 위지트 (20%) 티사이언티픽은 빗썸코리아 지분 8% 보유 위지트 -> 티사이언티픽 -> 빗썸코리아 4. 특징 - 티사이언티픽이 빗썸코리아 지분 8%를 보유하고있어서, 대주주인 위지트는 블록체인 관련주로 움직임 - 2022/04 티사이언티픽이 가상자산거래소 한빗코 지분인수 뉴스 - 12회가 넘는 BW발행. 잔액이 아직도 320억 남아있음. 주가..

주식정보 2023.02.15

솔트웨어 아마존관련주 클라우드 서비스 SI용역업체

1. 기업개요 2003년 설립. 처음에는 IBM, HP 등의 서버, 네트워크 장치를 납품, 서비스 구축 (H/W중심) 2005년 자체 S/W 개발 시작 2007년 자체 프로그램 출시. 기업 사내 전산시스템 구축 서비스 2014년 클라우드 영역 진출 - AWS와 파트너쉽 체결 2022년 8월 코스닥 스팩 상장 2. 사업구조 1) 클라우드 중심의 H/W, S/W 구축서비스 2) 기업 사내 시스템 구축 3) 스마트팜 3. 지배구조 대주주 이정근 35.55% 4. 특징 - AWS공식 파트너사 - 2020년 기준 한국의 클라우드 전환율 10%, 미국 40%, 일본 33%. 성장 가능성 큼 5. 과제 아마존 클라우드 (AWS) 중심. 아마존 클라우드 중심의 사업에서 구글, MS, 네이버로 확대하려 함 6. 이슈 (..

주식정보 2023.02.13

디어유 팬덤 플랫폼 양대산맥 유일한 상장사

1. 기업개요 2017년 7월 SM엔터테인먼트의 모바일 노래방 서비스 사업으로 시작. 수익안남 2019년 아티스트 소통 플랫폼 '리슨'런칭. 가능성을 봄 2020년 에브리싱 -> 디어유 사명변경하면서, 아티스트 소통 플랫폼 운영 노하우 접목. 디어유 버블 서비스 시작. 사업 급성장 2. 특징 - SM엔터테인먼트 자체 아티스트를 이용한 서비스이기에 추가비용없음 (반대사례 : 빅데이터 타겟마케팅 기업이지만 자체플랫폼이 없어서 정보가져오는데 매출의 절반에 해당하는 비용소요 #와이더플래닛) - 구독형 모델이라 안정적 현금흐름. 분기당 영업이익이 40억씩 꾸준히 발생하고, 부채는 거의 없으며 현금성 자산은 1000억 수준 - 2021년 영업익 132억, 2022년 추정 영업익 256억 수준. 급성장 - 아이돌 굿..

주식정보 2023.02.13

와이더플래닛 빅데이터 광고업체 타켓마케팅

와이더플래닛은 빅데이터 광고기업입니다. 10년간 확보한 데이터로 광고주가 원하는 소비자를 찾아서 정확한 타겟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1. 기업개요 온라인 마케팅회사. 빅데이터를 이용해 광고주 목적에 맞는 소비자를 찾아 선별적 광고제공. 타겟마케팅 플랫폼 업체 대표 구교식 2010년 설립 기술성장기업 상장중 사업특례 모델로 상장 2. 경쟁력 - 4500만명의 개인 소비행태 빅데이터 보유로 정확한 타게팅 가능 - 35억개의 4500만명 개인비식별 데이터 보유 - 2021년 9월 온라인 쇼핑몰 IBL인수.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보유하게 되면서 중소기업 제품의 광고 집행이 가능해짐 - 광고에서 고객사의 제품판매까지 연결 3. 특징 - 상장할때부터 대표의 지분이 15%수준. 정수동 개발본부장이 15% 지분 보유하..

주식정보 2023.02.09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자동차 사업부문 인적분할 재상장 기업

코오롱글로벌에서 인적분할을 하여 코오롱모비리티그룹이 신규상장하였습니다. 어떤 사업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업개요 - 대표이사 이규호. 코오롱 4세. 1984년생 - 기존 코오롱글로벌에는 건설, 상사, 자동차 사업부문 존재. 자동차 사업부문만 인적분리하여 재상장한 기업 BMW, 아우디, 볼보, 지프, 롤스로이스 유통 - 자동차 사업부문은 높은 성장성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있었지만, 건설사업부문이 같이 있었기 때문에 주가 디스카운트 존재 - 이번에 인적분할로 인해 수입차사업부문이 재평가 되면서 주가급등 2. 사업부문 - 수입차 판매가 주력사업이며 추가로 중고차판매, 자동차정비, 수입오디오 사업을 하고 있음 3. 비교기업 - 도이치모터스 4. 특징 - 코오롱모빌리티그룹 보통주와 우선주가 같이 ..

주식정보 2023.02.08

애니플러스 일본애니메이션 배급사에서 종합 콘텐츠 기업으

일본 애니메이션 유통 배급업체에서 시작하였지만, 국내 1위 애니메이션 OTT를 인수하였고 이후 굿즈 상품판매와 드라마 제작사업으로까지 확장하면서 종합 콘텐츠 플랫폼 비즈니스로 성장 1. 기업개요 - 일본 애니메이션 유통 배급업체. 유통, 굿즈(애니메이션 상품)판매가 주력사업 - 애니메이션 유통으로 시작하였지만 현재는 드라마 제작 자회사를 보유함으로서 종합콘텐츠 기업으로 성장하려 함 (옷소매 붉은 끝동 제작) - 아시아 8개국에서 넷플릭스 등 OTT로 콘텐츠 공급 - 유스 애니메이션을 핵심으로 하는 ANIPLUS 방송사업중 - 진격의 거인, 스파이패밀리, 러브라이브 등 인기프로그램 방영 2. 특징 - 일본 신작 애니메이션 점유율 70% 확보. 과점 형태. 일정기간 독점방영권 보유 - 일본 애니메이션의 한국..

주식정보 2023.02.08

스튜디오미르 국내 애니메이션 총괄제작업체

스튜디오미르는 애니메이션 총괄제작업체입니다. 어떠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회사개요 - 2010년 설립 - 국내 애니메이션 총괄제작업체 애니메이션 제작은 '스토리기획 → 제작 → 편집 녹음' 3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것이 총괄제작. - 한국에 총괄제작이 가능한 업체들이 많지 않은데, 스튜디오 미르는 가능한 업체중 하나 -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외모지상주의 제작 2. 제작 애니메이션 '외모지상주의' '코라의 전설' '도타 : 용의피' '위쳐 : 늑대의 악몽' 3. 경쟁력 - 글로벌 OTT업체들의 애니메이션 투자확대중. 메이저 업체와의 계약이 경쟁력 2011년 미국 애니메이션 케이블 채널 니켈로디언 계약 2019년 넷플릭스 장기 공급계약 2022년 월..

주식정보 2023.02.08

LX세미콘 국내1위 팹리스 세계3대 DDI 생산업체

1. 기업개요 구본준 LX그룹 회장 1985년 금성반도체 부장 1997년 LG반도체 부회장. 5대그룹 빅딜로 LG반도체를 하이닉스에 넘김 2021년 LG그룹에서 LX그룹으로 계열분리 국내 팹리스1위 세계 13위권 매출2조 세계 3대 DDI 생산업체 : 삼성전자, 노바텍, LX세미콘 2. 특징 - 매출의 87%가 DDI - 매출처의 60%가 LG디스플레이 + 애플, BOE. LG디스플레이 실적하락시 연동 - LG와 계열분리는 되었으나 LG디스플레이에 여전히 제품공급 - LX세미콘의 OLED DDI 비중은 50%. 경쟁사인 대만 노바텍은 LCD DDI 비중높음 -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OLED DDI 업체가 많지 않음. LX세미콘은 3대 업체 - 자동차 전장, 전력반도체, 방열기판 등으로 사업다변화 모색중 ..

주식정보 2023.02.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