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러시아 가스공급 중단 천연가스 LNG선 관련주 일승 LNG재기화설비

엔터키 2022. 8. 23. 01:33
반응형

 

 

 

 

 

최근에 조선주 훈풍이 불면서 조선기자재 관련주인 일승이 큰 상승을 보였습니다.

여기에는 2가지 이슈가 있습니다. 

1) 러시아의 유럽 가스공급 중단으로 인한 천연가스 가격 상승

2)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통과 

입니다. 

 

세계 최대 러시아 가스기업 가스프롬은 유지보수를 한다는 명목아래 노르트스트림1 가스관을 통한 유럽 가스공급을 중단하였습니다. 

러시아는 대외적으로 21일까지 중단한다고 하였지만, 그 이후에 다시 공급을 할지는 알수 없습니다.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가는 미국이지만, 기업으로는 가스프롬이 1위입니다. 가스프롬은 러시아 정부가 지분 과반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국영기업입니다. 그렇기에 푸틴의 영향을 강하게 받습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유럽국가와 러시아간의 사이가 틀어졌지만, 유럽국가 대다수가 러시아 가스프롬의 가스공급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것이 문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러시아의 가스공급 중단이 장기화될수도 있다는 우려로 천연가스 가격은 폭등을 하였습니다. 

 

세계적으로 가스확보를 위해 움직이면서 LNG선박에 대한 주문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두번째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친환경 에너지 공급망 강화에 480조 투자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에 최종 서명하면서 통과가 되었습니다. 향후 30일안에 미국의 지상과 해상에서 석유와 가스시추 임대 허가를 해주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이것 역시 LNG선 발주와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로인한 LNG선 훈풍이 조선기자재 관련주인 일승의 상승과 연결되었습니다.

 

일승은 어떤 회사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진중공업, 동방선기가 계열사이며, 세진중공업의 자회사입니다. 

 

 

환경장비사업부와 LNG사업부가 핵심입니다. 

 

1) 환경장비사업부에서는 분뇨처리시설을 만들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점유율 80%, 세계시장 점유율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분뇨처리시설

 

 

 

2) LNG사업부(LNG RU)에서는 선박내 LNG를 재기화해주는 장비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것때문에 일승이 단순 조선기자재 업체가 아니라 LNG선 관련주로 구분되는 이유입니다.

LNG RU 천연가스 재기화설비

 

 

 

현재 시총은 1335억이고, 부채비율은 74%로 안정적입니다.

실적은 분기별로 흑자와 적자를 왔다갔다 하지만 수주산업의 특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흑자입니다. 그러나 2021년 2분기에 -91에 달하는 적자가 한번 있었습니다.

 

 

 

최근에 신고가를 찍고 약간 조정받은 상황입니다.

 

 

- 신사업 -

일승은 최근 HRSG (폐열회수보일러)시장에 진출하고 초도수주에 성공하면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HRSG 는 가스터빈에서 연소후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재활용해 스팀터빈을 돌리는 설비입니다. 

2026년 시장이 4조원대로 성장할것으로 예상하면서 계속 준비를 해왔습니다.

이제 막 시작하여 매출은 미미합니다.

 

 

- 주가 변동성 -

220810 국내 조선사들이 전 세계 발주량 가운데 절반 이상 휩쓴 것으로 집계됐다는 소식에 액화천연가스(LNG)선 사업을 영위하는 일승의 주가가 강세
220726 환경장비 전문 제조기업 일승이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과 HRSG(배열회수보일러) 계약체결 소식에 상승
220629 [특징주] 일승, 'G7 에너지 위기' LNG 투자 확대 합의에 강세
220609 일승, 주가 상승…LNG 가격 또 오르나
220223 [특징주] 일승 주가 '대박'...국내 LNG 연료단가 역대 최고가 경신

 

 

: 보시다시피 대부분  LNG선과 연결되어 주가는 변동성을 보여왔습니다. LNG가격이 상승을 한다거나, LNG선 발주가 증가했다는 기사가 나왔을때 주가 상승이 컸습니다. 7월 배열회수보일러를 재료로 뉴스가 떴지만 변동성이 크지는 않았습니다.

 

 

 

 

 

 

반응형